데포르티보 사프리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는 1935년 코스타리카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리카르도 사프리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0회 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서 3회 우승, 2005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 3위를 기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알라후엘렌세와의 경기는 코스타리카에서 가장 치열한 라이벌전으로 꼽히며, 에바리스토 코로나도는 537경기 출전, 148골로 클럽 최다 출전 및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LD 알라후엘렌세
LD 알라후엘렌세는 1919년에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0회 우승했으며, UNCAF 인터클럽스컵과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도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무니시팔 그레시아
1998년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 무니시팔 그레시아는 리가 데 아센소에서 두 차례 우승 후 리가 FPD로 승격했으며, 알렌 리지오니 수아레스 무니시팔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코스타리카 축구에 관한 - LD 알라후엘렌세
LD 알라후엘렌세는 1919년에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0회 우승했으며, UNCAF 인터클럽스컵과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도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코스타리카 축구에 관한 - 무니시팔 그레시아
1998년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 무니시팔 그레시아는 리가 데 아센소에서 두 차례 우승 후 리가 FPD로 승격했으며, 알렌 리지오니 수아레스 무니시팔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상파울루 FC
상파울루 FC는 1930년 창단된 브라질 상파울루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다수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특히 1990년대 텔레 산타나 감독 체제 하에 전성기를 누렸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1935년 아르헨티나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는 꾸준한 승격 끝에 2014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진출, 2020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와 2021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으로 국제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홈 경기장은 노르베르토 "티토" 토마젤로 스타디움이다.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풀 네임 | Deportivo Saprissa, Sociedad Anónima Deportiva (SAD) |
클럽명 | 사프리사 |
![]() | |
별명 | Los Morados (자주색 군단) El Monstruo (괴물) La S (S) El Glorioso (영광스러운 팀) El Sapri (사프리) Rey de Copas (컵의 왕) |
창단일 | 1935년 7월 16일 (88년) |
프리메라 디비시온 참가 | 1949년 8월 21일 (74년) |
홈 경기장 |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
수용 인원 | 23,112명 |
구단주 | Horizonte Morado |
회장 | 후안 카를로스 로하스 칼란 |
감독 | 앙헬 루이스 카탈리나 |
코치 | 호세 지아코네 |
리그 | 리가 프로메리카 |
시즌 | 아페르투라 2023 |
순위 | 1위 (우승) |
웹사이트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Saprissa1819Third pattern_b1: _Saprissa24H pattern_ra1: _Saprissa1819Third pattern_sh1: _Saprissa20Home pattern_so1: _Saprissa20Home leftarm1: FFFFFF body1: FFFFFF rightarm1: FFFFFF shorts1: FFFFFF socks1: 830042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Saprissa21Away pattern_b2: _Saprissa24A pattern_ra2: _Saprissa21Away pattern_sh2: _Saprissa20Away pattern_so2: _Saprissa20Away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2. 역사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는 1935년 7월 16일 로베르토 페르난데스에 의해 창단되었으며, 유니폼을 후원한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의 이름을 따서 '''사프리사 FC'''라는 이름으로 코스타리카 3부 리그에 참가했다.[3] 이후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여 1949년 8월 21일 1부 리그에 데뷔했다. 사프리사는 1949년 짐나스티카 에스파뇰라와의 첫 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했지만, 원정 경기에서 6-2로 패했고, 3차전에서도 1-2로 패하여 우승을 놓쳤다. 당시 행정 기관의 특혜로 1부 리그에 승격되었다는 논란이 있었다. 하지만, 3부 리그와 2부 리그에서 무패 우승을 차지하는 등 초기에 주목할 만한 업적을 달성하며 코스타리카 최상위 리그에 꾸준히 머물렀다.
1952년 첫 우승을 차지한 이후, 1972년부터 1977년까지는 6연패를 달성했다. 2005년 FIFA 클럽 월드컵에 북중미카리브 지역 클럽 대표로 출전하여 3위를 차지했다.
2006년 중반에는 에르난 메드포드(Hernán Medford) 감독이 코스타리카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캄포스(Campos)가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35~1970년대)
1935년 7월 16일, 로베르토 페르난데스가 '''사프리사 FC'''를 창단했으며, 유니폼을 후원한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의 이름을 따서 팀 이름을 지었다.[3] 사프리사 FC는 코스타리카 3부 리그에 참가하여 3부 리그와 2부 리그에서 무패 우승을 차지하는 등 초기에 주목할 만한 업적을 달성했다. 1949년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여 1부 리그에 데뷔했으며, 짐나스티카 에스파뇰라와의 첫 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했지만, 원정 경기에서 6-2로 패하고, 3차전에서도 1-2로 패하여 우승을 놓쳤다. 이후 클럽은 코스타리카 최상위 리그에 꾸준히 머물러 있다. 1952년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72년부터 1977년까지 리그 6연패를 달성했다.2. 2. 전성기와 국제 무대 진출 (1980년대~2000년대)
사프리사는 2005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 멕시코 클럽 UNAM을 꺾고 우승하여, CONCACAF 클럽 챔피언 자격으로 2005년 12월 일본에서 열린 2005 FIFA 클럽 월드컵에 출전했다.[3] 8강전에서는 크리스티안 볼라뇨스의 골로 시드니 FC를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그 해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이자 당시 유럽 최강팀이었던 리버풀 FC에게 3-0으로 패했다.[3] 3,4위전에서는 알 이티하드를 3-2로 이겼는데, 알바로 사보리오가 2골을 넣었고, 론날드 고메즈가 89분에 프리킥 결승골을 넣어 승리했다.[3] 이 골은 이후 코스타리카 사람들에게 "라 사프리오라"(Sapritime)라고 불리며 85분 이후 터진 사프리사의 골을 지칭할 때 사용되고 있다.[3] 결국 사프리사는 상파울루 FC와 리버풀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3] 사보리오는 득점왕을 공동 수상했고, 볼라뇨스는 FIFA로부터 5개 팀 중 3위에 해당하는 동메달을 수상했다.[3]사프리사는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서 3회 우승(1993, 1995, 2005)과 4회 준우승(1970, 1973, 2004, 2008)을 기록했다. 코파 인테라메리카나에서는 2회 준우승(1993, 1995)을 차지했다. UNCAF 클럽 토너먼트에서는 5회 우승(1972, 1973, 1978, 1998, 2003)과 7회 준우승(1971, 1974, 1996, 1997, 2001, 2004, 2007)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CONCACAF 중앙아메리카 챔피언스 1회 우승(1970), 코파 리카르드 1회 준우승(2008), US 카멜 컵 1회 우승(1985)을 기록했으며, 2005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2. 3. 최근 역사 (2010년대~현재)
2003년, 멕시코 사업가 호르헤 베르가라가 클럽 주식 대부분을 매입했다.[3] 그는 멕시코 축구 클럽 과달라하라 CD와 미국 메이저 리그 사커 클럽 시바스 USA CD의 구단주이기도 했다.사프리사는 2005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 멕시코 클럽 UNAM을 꺾고 우승하며, CONCACAF 클럽 챔피언 자격으로 2005 FIFA 클럽 월드컵에 출전했다. 2005 FIFA 클럽 월드컵 8강전에서 크리스티안 볼라뇨스의 골로 시드니 FC를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리버풀 FC에게 3-0으로 패했다. 3,4위전에서는 알 이티하드를 알바로 사보리오의 2골과 론날드 고메즈의 프리킥 결승골로 3-2로 이겼다. 특히 89분에 터진 고메즈의 결승골은 "라 사프리오라"(Sapritime)라고 불리며, 85분 이후 터진 사프리사의 극적인 골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사프리사는 상파울루 FC와 리버풀에 이어 3위를 차지했고, 사보리오는 득점왕을, 볼라뇨스는 브론즈볼을 수상했다.
1949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52년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72년부터 1977년까지 6연패를 달성하기도 했다.
3. 경기장
사프리사는 클럽 창립자인 리카르도 사프리사의 이름을 딴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원래는 코스타리카 국립경기장을 임대하여 사용했다.
1965년 경기장 부지를 매입하여 6년간의 공사와 개보수 끝에 1972년 8월 27일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가 공식 개장했다. 개장 첫 경기는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와 과테말라의 코무니카시오네스 간의 경기였으며, 1대 1 무승부로 끝났다. 코무니카시오네스의 피터 산도발이 이 경기장에서 첫 골을 기록했다.
경기장의 공식 명칭은 Estadio Ricardo Saprissa Aymáes이며, 클럽 창립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경기장 모퉁이에는 '돈 리카르도'의 흉상이 있다. 또한 클럽의 별명인 El Monstruo Moradoes ("보라색 괴물")을 따라 La Cueva del Monstruoes (괴물의 굴) 또는 La Cuevaes (소굴)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수용 인원은 2만 4천 명이며, 인근 산과 산호세 시내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위치해 있다.
이 경기장은 코스타리카와 경기를 치르는 모든 국가 대표팀들 덕분에 국제적으로 큰 명성을 얻고 있다.
4. 유니폼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의 원래 팀 색상은 빨간색과 흰색이었으나, 1937년 유니폼 제작 과정에서 빨간색과 파란색 실이 섞여 자주색이 만들어졌다. 이 새로운 색상은 고급스러움과 독창성을 반영하여 팀의 공식 색상으로 선택되었다. 팀 문장은 굵은 흰색 "S" 문자와 함께 유니폼 가슴에 표시된다.[1]
사프리사는 홈 경기에서 자주색/버건디 유니폼과 흰색 반바지를, 원정 경기에서는 흰색 유니폼과 버건디/회색 반바지를 착용한다.
4. 1. 유니폼 스폰서
제조업체 | 기간 | 스폰서 | 비고 | |
---|---|---|---|---|
1935년–1977년 | ||||
올림포 | 1978년–1979년 | |||
내셔널 | 1980년–1981년 | |||
데스포르트 | 1982년–1985년 | 바이엘 | ||
1986년–1990년 | 코카콜라 | |||
리복 | 1990년–1991년 | |||
가르시스 | 1992년–1993년 | |||
트루퍼(Trooper) | 1993년–1994년 | |||
란제라 | 1994년 | |||
험브로 | 1995년 | |||
메드스포르트 | 1995년 | |||
1996년 | 컬게이트 | |||
리복 | 1996년–1997년 | |||
1997년–1998년 | LG | |||
트루퍼(Tropper) | 1998년 | |||
아디다스 | 1998년–1999년 | |||
아틀레티카 | 2000년–2003년 | |||
2003년–2004년 | ||||
리복 | 2004년–2006년 | |||
2006년–2011년 | 빔보 | |||
호마 | 2012년–2013년 | 빔보, 파파존스 | ||
2014년 | 빔보, 이베리코 | |||
카파 | 2015년–2016년 | |||
2017년–2018년 | 빔보, 화웨이 | |||
2018년–2019년 | 콜비, 화웨이 | |||
2019년 | 콜비, 티오 펠론 | |||
2020년–2021년 | 콜비, BAC 크레도마틱 | |||
2021년–2022년 | BAC 크레도마틱, 트로피칼 | |||
2022년–2023년 | BAC 크레도마틱, 리버티 | |||
2024년 | BAC 크레도마틱, 조니 로케츠 |
5. 라이벌 관계
LD 알라후엘렌세와의 경기는 클라시코 나시오날(Clásico Nacional)이라고 불리며, CS 에레디아노와의 경기는 클라시코 델 부엔 푸트볼( es:Clásico del Buen Fútbol )이라고 불린다.
5. 1. 엘 클라시코 (vs 리가 데포르티바 알라후엘렌세)
LD 알라후엘렌세와의 경기는 '엘 클라시코(El Clásico)'라고 불리며, 코스타리카에서 가장 치열한 라이벌전으로 꼽힌다. 사프리사는 산호세의 티바스(Tibás) 출신이고, 알라후엘렌세는 알라후엘라 출신이다. 두 팀의 첫 경기는 1949년 10월 12일에 열렸으며, 알라후엘렌세가 6-5로 승리했다.[1] 현재까지의 경기 결과는 사프리사가 139승, 알라후엘렌세가 107승, 무승부가 109회이다.[1]
5. 2. 클라시코 델 부엔 풋볼 (vs CS 에레디아노)
CS 에레디아노와의 경기는 '클라시코 델 부엔 풋볼'(Clásico del Buen Fútbol)이라고 불린다.[1] 첫 경기는 1949년 10월 30일에 열렸으며, 사프리사가 5-3으로 승리했다.[1]6. 서포터즈
La Ultra Moradaes는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의 가장 열정적인 서포터즈 그룹이다. 이들은 경기장 남쪽 스탠드에 위치하며, 열정적인 응원과 화려한 응원 도구를 통해 팀을 응원한다.[1]
7. 마스코트
El Monstruoes라는 별명을 가진 보라색 용이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2010년에 새로운 마스코트가 도입되었으나 팬들의 반발로 인해 원래 마스코트와 유사한 새로운 마스코트로 교체되었다.
8. 우승 기록
FIFA 클럽 월드컵에서 3위를 기록했다. (2005) 리그 우승 횟수는 코스타리카 국내 최다이다. LD알라후엘렌세, CS에레디아노와 함께 코스타리카의 강호 클럽 중 하나로 꼽힌다.
8. 1. 국내 대회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는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0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LD알라후엘렌세, CS에레디아노와 함께 코스타리카를 대표하는 강호 클럽 중 하나이다.대회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 40 | 19 | 1952, 1953, 1957, 1962, 1964, 1965, 1967, 1968, 1969,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82, 1988, 1989, 1993–94, 1994–95, 1997–98, 1998–99, 2003–04, 2005–06, 2006–07, 2007 인비에르노, 2008 베라노, 2008 인비에르노, 2010 베라노, 2014 베라노, 2014 인비에르노, 2015 인비에르노, 2016 인비에르노, 2018 클라우수라, 2020 클라우수라, 2021 클라우수라, 2022 아페르투라, 2023 클라우수라, 2023 아페르투라, 2024 클라우수라 |
코스타리카 코파 토르네오 | 7 | 7 | 1950, 1956, 1960, 1963, 1970, 1972, 2013 |
코스타리카 수페르코파 | 3 | 2 | 1976, 2021, 2023 |
코스타리카 레코파 | 2 | 1 | 1963, 2023 |
코스타리카 2부 리그 | 1 | 1948 | |
코스타리카 테르세라 디비시온 | 1 | 1947 |
8. 2. 국제 대회
대회 | 결과 |
---|---|
FIFA 클럽 월드컵 | 3위 (2005) |
CONCACAF 챔피언스컵/CONCACAF 챔피언스리그 | 우승 (1993, 1995, 2005) 준우승 (1973, 2004, 2008) |
CONCACAF 리그 | 우승 (2019) 준우승 (2020) |
UNCAF 인터클럽컵 | 우승 (1972, 1973, 1978, 1998, 2003) 준우승 (1971, 1974, 1996, 1997, 2001, 2004, 2007) |
코파 인테라메리카나 | 준우승 (1993, 1995) |
CONCACAF 중앙아메리카 챔피언스 | 우승 (1970) |
코파 리카르드 | 준우승 (2008) |
US 카멜 컵 | 우승 (1985) |
9. 선수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는 에바리스토 코로나도, 왈테르 센테노, 알바로 사보리오, 케일러 나바스 등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선수 |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
알레산드르 지마랑이스 |
로날드 고메스 (축구인) |
마리오 코르데로 (1950년생) |
알론소 솔리스 (축구인) |
로란도 폰세카 |
에드가르 마린 (1970년생) |
아우바로 무리요 |
에르난 메드포르 브라이언 (1987-2003) |
마우리시오 라이트 |
길예르모 레온 |
마르빈 로드리게스 |
마르코 안토니오 로하스 |
로이 미에르스 |
에릭 로니스 |
로날드 곤살레스 |
알레한드로 세케이라 |
가브리엘 바디야 |
호세 프란시스코 포라스 |
9.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31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3 | DF | 파블로 아르보인 | CRCes |
4 | DF | 켄달 와스턴 | CRCes |
5 | MF | 조셉 모라 | CRCes |
6 | MF | 제퍼슨 브레네스 | CRCes |
7 | MF | 제프리 발베르데 | CRCes |
8 | MF | 데이비드 구즈만 | CRCes |
9 | FW | 제이본 이스트 | JAM영어 |
11 | FW | 루이스 디아스 | CRCes |
12 | DF | 리카르도 블랑코 | CRCes |
14 | FW | 아리엘 로드리게스 | CRCes |
16 | DF | 에두아르도 앤더슨 | PANes |
17 | MF | 요세르트 에르난데스 | CRCes |
18 | GK | 에스테반 알바라도 | CRCes |
19 | DF | 라이언 볼라뇨스 | CRCes |
20 | MF | 마리아노 토레스 | ARGes |
21 | DF | 피델 에스코바르 | PANes |
22 | MF | 유스틴 살라스 | CRCes |
23 | DF | 오스카르 두아르테 | CRCes |
24 | FW | 오를란도 싱클레어 | CRCes |
25 | DF | 요르카에프 아조페이파 | CRCes |
27 | FW | 라시드 키리노 | CRCes |
28 | FW | 데이버 베가 | CRCes |
29 | MF | 에마누엘 카르바할 | CRCes |
30 | MF | 울리세스 세구라 | CRCes |
31 | FW | 파브리시오 알레만 | CRCes |
32 | DF | 클리버 고메즈 | CRCes |
37 | FW | 지노 비비 | CRCes |
40 | GK | 아브라함 마드리즈 | CRCes |
9. 2. 주요 선수
에바리스토 코로나도: 1980년대와 1990년대를 대표하는 공격수로, 클럽 최다 출전(537경기) 및 최다 득점(148골)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5][6]왈테르 센테노: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을 대표하는 미드필더로, 뛰어난 기술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다. 통산 449경기에 출전하여 89골을 기록했다.[5][6]
알바로 사보리오: 2000년대 초반과 2010년대에 활약한 공격수로, 뛰어난 득점력을 선보였다. 통산 155경기에 출전하여 96골을 기록했다.[6]
케일러 나바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사프리사에서 활약한 골키퍼로, 이후 레알 마드리드 등 유럽 명문 클럽에서 활약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성장했다.
순위 | 선수명 | 활동 기간 | 출전 | 득점 |
---|---|---|---|---|
1 | Evaristo Coronado | 1981–95 | 537 | 148 |
2 | Víctor Cordero | 1991–11 | 478 | |
3 | Jervis Drummond | 1995–10 | 452 | |
4 | Walter Centeno | 1995–12 | 449 | 89 |
5 | Enrique Díaz | 1983–96 | 444 |
순위 | 선수명 | 활동 기간 | 출전 | 득점 |
---|---|---|---|---|
1 | Evaristo Coronado | 1981–95 | 537 | 148 |
2 | Edgar Marín | 108 | ||
3 | Eduardo Chavarría | 104 | ||
4 | Álvaro Saborío | 2001–06, 2017 | 155 | 96 |
5 | Jorge Monge | 1953–67 | 136 | 93 |
6 | Alonso Solís | 1996–12 | 93 | |
7 | Walter Centeno | 1995–12 | 449 | 89 |
- 크리스티안 볼라뇨스
- 알바로 사보리오
- 케일러 나바스 (2005-2010)
- 발터 "파테" 센테노
10.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오투 붐베우 | 1952 |
알레샨드리 기마랑이스 | 1997~2000 |
에르난 메드포르드 | 2003~2006 |
제오스틴 캄포스 | 2006~2009 |
알레샨드리 기마랑이스 | 2011~2012 |
제오스틴 캄포스 | 2014~2015 |
제오스틴 캄포스 | 2022~2023 |
에르난 메드포르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감독을 맡아 CONCACAF 챔피언스컵 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 3위를 이끌었다.[1] 제오스틴 캄포스는 여러 차례 사프리사 감독을 맡으며 팀의 성적을 견인했다.[1]
참조
[1]
뉴스
Club World Ranking Top 350 (1 September 2007 – 31 August 2008)
http://www.iffhs.d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ootball History & Statistics
2008-09-29
[2]
웹사이트
Central and North America's club of the Century
http://www.iffhs.de/[...]
2009-10-08
[3]
웹사이트
Jorge Vergara Rey Midas sin calcetines
https://web.archive.[...]
2015-04-02
[4]
웹사이트
¿Por qué la mascota de Saprissa es un dragón?
https://futbolcentro[...]
2022-04-13
[5]
웹사이트
Coronado y Cordero en los records morados
https://web.archive.[...]
2014-07-14
[6]
웹사이트
Víctor Cordero en la historia del Saprissa
https://web.archive.[...]
2017-09-18
[7]
웹사이트
El monstruo
https://diariodeport[...]
2020-06-25
[8]
웹사이트
Morados encantados y comprando desmesuradamente el tercer uniforme
https://www.columbia[...]
2020-11-18
[9]
웹사이트
El Sapri regresa hoy a los entrenamientos
https://www.diarioex[...]
2020-09-20
[10]
웹사이트
David Ramírez buscaría equipo porque en la “S” no le han dado pelota
https://www.lateja.c[...]
2020-12-22
[11]
웹사이트
Saprissa se reafirma como el rey de copas de Centroamérica
https://www.espn.co.[...]
2020-06-29
[12]
웹사이트
Juan Carlos Rojas a Luis Paradela: ¡Bienvenido al equipo del siglo, al glorioso Saprissa!
https://elmundo.cr/d[...]
2022-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